KIM CHOON JAE
김 춘 재

(b.1981)

김춘재의 풍경은 왜 더 특별할까? 홍대 동양화과를 졸업한 작가는 유화라는 서양적 매체를 가지고 작업한다. 동양화에서 주로 사용되는 구도와 기법을 서양의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동서양의 독특한 조합이 작가만의 조형언어를 창출해 낸다. 동양화에서 획은 정신이 깃들었다고 말한다. 김춘재의 여러 획들과 붓질이 쌓여 만들어진 화면은 작가의 노고와 공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2021년부터 시작된 <Tiny wood> 시리즈 작품들은 어둠과 빛의 조합 혹은 대비가 강하게 드러난다. 김춘재의 풍경은 어둡다. 그러나 그 어둠은 단면적인 어둠이라고 볼 수 없다. 동양 철학에서 여백은 담고 있는 내용을 표현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작가는ʻ검은 여백’을 통해 풍경 속에 감추어져 있는 것을 우리에게 보여주고자 한다. 어둠을 통해 풍경은 강조되기도 하고 모든 이야기를 중단시키기도 한다. 침묵은 하나의 대답이 되며 그 침묵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작가의 복잡한 감정과 현실에 대한 사색을

담아낸 것이다.


김춘재는 풍경이 어떤 특정 장소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렇다고 관념이나 상상 속의 풍경 또한 아니다. ʻ실재’와 ʻ상징’의 대척점을 능숙하게 조화시킨 것이다.

이러한 작가의 풍경은 새로운 조형세계를 구축한다. 즉 현실이 자연을 통해 내면화된 삶의 풍경인 셈이다. 아름다운 풍경을 통해 본인 내면의 평화를 담아내고 있으며, 또 그의 풍경은 우리 기억 속 풍경과 뒤엉켜 캔버스 밖으로 확장되어 나간다. 그래서 김춘재의 작업은 무겁고 닫힌 공간이 아니라 생동감 있는 열린 공간이다.



Why are Choonjae Kim’s landscapes more special and unique? He graduated from Hongik University Department of Oriental Painting and works with a Western medium, oil painting. He combines Western materials with compositions and techniques commonly used in Oriental painting. This unique combination of East and West generates his own formative language. In oriental paintings, strokes are said to contain spirit. The landscapes created by the artist’s brush strokes clearly reveal his hard work and efforts.


The works in his <Tiny wood> series, which began in 2021, show a strong combination of or contrast between darkness and light. While Choonjae Kim’s landscapes are dark, such darkness cannot be simply seen as one-sided darkness. In Eastern philosophy, blank space is another way to express the content. The artist wishes to show us what is hidden in the landscape through “black space.” Darkness emphasizes the scenery and even interrupts the entire story of the work. Silence can be an answer, and that silence embodies the artist’s complex emotions and contemplation of reality in the midst of the life in modern society.


Choonjae Kim says that landscape does not refer to a specific place. However, it is not a landscape of ideas or imagination, either. It is a result of the skillfully harmonized opposites of “reality” and “symbol.” The landscapes created by the artist generate a new formative world. In other words, reality is a landscape of life

internalized through nature. He captures his inner peace through beautiful landscapes, and his landscapes are intertwined with the landscapes in our memories and expand beyond the canvas. Therefore, Choonjae Kim’s works are lively open spaces, rather than heavy, closed spaces.

학력

2008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졸업

2011 홍익대학교 대학원 동양화과 졸업


개인전

2024 Chapter7. 어둠의 깊이 마음의 깊이 (갤러리 진선, 서울)

2023 Small chapter - 현현의 빛 (갤러리 끼 옥탑방미술관, 서울)

2022 Decade - 잔혹한 진실보다 따뜻한 거짓을 (갤러리 거제, 거제)

2021 Chapter6. Tiny wood (스페이스 엄, 서울)

2018 Chapter5. 찬란하게 어두운 (갤러리 서린스페이스, 부산)

2014 Chapter4. 강산무진 (아트스페이스H, 서울)

2013 Chapter3. 낮과 밤 (갤러리 현대 윈도우, 서울)

2011 Chapter2. Will of Gaia (스페이스 선+, 서울)

2010 Chapter1. 타인의 도시 (교하아트센터, 서울)

 

단체전

2024 세상의 모든 드로잉 (아터테인, 서울)

2023 다시 만날 날 (파르나스 호텔, 제주)

          그림에 반하다 (대전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 대전)

2022 세상의 모든 드로잉 (아터테인, 서울)

2021 Story Painter (에코락 갤러리, 고양)

         서울로 미디어캔버스-회화 무빙이미지 (서울로7017, 서울)

         the Shift-틈, 틔움 (갤러리 박영, 파주)

2020 재난감각 (김희수아트센터, 서울)

         모두의 달 (서울시립미술관 SeMA창고, 서울)

         오늘이 내일에게-위로하는 풍경 (갤러리 인사아트, 서울)

2019 빛이 머무는 밤 (신세계갤러리, 광주)

         3의 x제곱은 무한대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1cm의 세계, 1m의 풍경 (팔레드서울, 서울)

2018 Memento Bukjeong ballad for oblivion (성북도원, 서울)

         아트스펙트럼 (서드플레이스)

         기억의 낮, 기억의 밤 (성북도원, 서울)

2017 성남을 걷다 (성남큐브미술관, 서울)

         경기아트프리즘 (경기도미술관, 안산)

         제주비엔날레-투어리즘 (예술공간 이아, 제주)

         O의 조경 (성북도원, 서울)

         Platform artist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2016 the Great Artist (포스코미술관, 서울)

         Wet paint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2015 묵선전 (아트스페이스H, 서울)

         사이에 선 물건들 (스페이스 선+, 서울)

2014 온고이지신 (구정아트센터, 온양)

         상황 (아마도예술공간, 서울)

2013 Korea tomorrow (예술의 전당, 서울)

         Neo inscription (아트스페이스H, 서울)

2012 중앙미술대전 (예술의 전당, 서울)

2011 Talking to the world (금산갤러리, 파주)

         동방의 요괴들-in the city (충무아트홀, 서울)

 

아트페어

2024 화랑미술제 (COEX, 서울)

2023 KIAF Seoul (COEX, 서울)

         화량미술제 (COEX, 서울)

2022 KIAF Seoul (COEX, 서울)

         화량미술제 (SETEC, 서울)

2020 화랑미술제 (COEX, 서울)

 

레지던시 및 수상

2021 갤러리 박영 the shift 6기 선정작가 (갤러리 박영)

2020 전국청년작가전 선정작가 (남도문화재단)

2016 인천아트플랫폼 입주작가 (인천아트플랫폼)

2012 중앙미술대전 선정작가 (중앙일보)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정부미술은행, 포스코미술관, 경기도미술관, 성남문화재단, 성남큐브미술관, 인천문화재단



59 Samcheongro, Jongrogu, Seoul, Korea

galleryjinsun


Call     +82 (0)2-723-3340

e-mail     galleryjinsun@hanmail.net